지미니박 2024. 2. 13. 16:14

스트림(Stream)
배열이나 컬렉션 등 데이터를 하나씩 참조하여 처리 가능한 기능
for문 사용을 줄여 가독성을 높임

구성 : 데이터소스객체.Stream생성().중개연산().최종연산();

데이터 처리 연산
스트림은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일반적으로 지원하는 연산과 데이터베이스와 비슷한 연산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filter, map, reduce, find, match, sort 등으로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다. 

스트림 연산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또는 병렬로 실행할 수 있다.
 
소스
스트림은 컬렉션, 배열, I/O 자원 등의 데이터 제공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소비한다. 정렬된 컬렌션으로 스트림을 생성하면 정렬이 그대로 유지된다. 즉, 리스트로 스트림을 만들면 스트림의 요소는 리스트의 요소와 같은 순서를 유지한다.
 
연속된 요소
컬렉션과 마찬가지로 스트림은 특정 요소 형식으로 이루어진 연속된 값 집합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컬렉션은 자료구조이므로 컬렉션에서는 시간과 공간의 복잡성과 관련된 요소 저장(ex: add) 및 접근(ex: get) 연산이 주를 이룬다. 반면, 스트림은 filter, map, sorted처럼 표현 계산식이 주를 이룬다. 정리하면, 컬렉션의 주제는 데이터이고, 스트림의 주제는 계산이다.
 
스트림(Stream)의 특징
파이프 라이닝
부분의 스트림 연산은 스트림 연산끼리 연결해서 커다란 파이프 라인을 구성할 수 있도록 스트림 자신을 반환한다. 그 덕분에 layziness(게으름), short-circuiting(쇼트서킷) 같은 최적화도 얻을 수 있다. 연산 파이프라인은 데이터 소스에 적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질의와 비슷하다.

 

컬렉션과 스트림의 차이
데이터를 언제 계산하느냐가 컬렉션과 스트림의 가장 큰 차이이다.
 
컬렉션은 우리가 아는 DVD와 비슷하다. 영상 전체 데이터를 CD에 모두 담고 있다. 
컬렉션은 현재 자료구조가 포함하는 모든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자료 구조다. 
즉, 컬렉션의 모든 요소는 컬렉션에 추가하기 전에 계산되어야 한다. 

반면, 스트림은 스트리밍 서비스와 비슷하다.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몇 부분만 미리 내려받는다. 
스트림은 이론적으로 요청할 때만 요소를 계산하는 고정된 자료구조이다. 
사용자가 요청하는 값만 추출하는 것이 스트림의 핵심이다.

또 다른 컬렉션과 스트림의 차이점은 외부 반복과 내부 반복이다.
컬렉션을 사용하려면 사용자가 직접 요소를 반복(ex: for-each문)해야 하는데 이를 외부 반복이라 한다. 
반면 스트림은 반복을 알아서 처리하고 결과 스트림 값을 어딘가에 저장해 주는 내부 반복을 사용한다.

 

 

 

link

https://zangzangs.tistory.com/171

 

자바 스트림 설명부터 사용하는 이유 파헤쳐보기 #JAVA #스트림

자바 스트림 설명부터 사용하는 이유 파헤쳐보기 #JAVA #스트림 안녕하세요? 장장스입니다. 오늘은 자바 스트림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스트림(Stream)이란 무엇인가? 스트림(Stream)은 자바 8 A

zangzang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