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2) 썸네일형 리스트형 [Data Structure 기초] 그래프 그래프 (Graph) - 정점과 간선으로 이루어진 자료구조 (Cyclic) - 연결된 정점간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자료구조 - 그래프의 용도 : 지하철 노선도, 통신 네트워크 등 그래프 구조 용어 정점 (Vertex) 각 노드 간선 (Edge) 노드와 노드를 연결하는 선 ( link, branch ) 인접 정점 (Adjacent vertex) 간선 하나를 두고 바로 연결된 정점 정점의 차수 (Degree) - 무방향 그래프에서 하나의 정점에 인접한 정점의 수 - 무방향 그래프 모든 정점 차수의 합 = 그래프 간선의 수 2배 진입 차수 (In-degree) 방향 그래프에서 외부에서 오는 간선의 수 진출 차수 (Out-degree) 방향 그래프에서 외부로 나가는 간선의 수 경로 길이 (Path lengt.. [기초 수학] 지수와 로그 제곱(Square) - 같은 수를 두 번 곱함 - 거듭 제곱 : 같은 수를 거듭하여 곱함 제곱근 (Square root, √ ) - a를 제곱하여 b가 될 때 a 를 b의 제곱근이라고 함 지수 (Exponent) 어떤 밑수를 몇 번 곱해야 하는지 나타냄 로그 (Logarithm) - a 가 b 가 되기 위해 제곱해야 하는 수 // 기초 수학 - 지수와 로그 public class mathPractice09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1. 제곱, 제곱근, 지수 System.out.println("=== 제곱 ==="); System.out.println(Math.pow(2, 3)); System.out.println(Math.pow(2, -3)); Sy.. [기초 수학] 점화식과 재귀함수 점화식 (Recurrence) 어떤 수열의 일반항을 그 이전의 항들을 이용하여 정의한 식 - 예시 ) 피보나치 수열 재귀 함수 (Recursion method) 어떤 함수가 자신을 다시 호출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 // 기초 수학 - 점화식과 재귀함수 public class mathPractice07 { static int recursion1(int n){ if (n == 1){ return 1; } return 3 * recursion1(n - 1); } static int recursion2(int n){ if (n == 1){ return 1; } return n + recursion2(n - 1); } static int recursion3(int n){ if (n < 3){ return 1; .. 이전 1 ··· 4 5 6 7 8 9 10 ··· 31 다음